저작권소송변호사 저작재산권의 의의
저작재산권은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대하여 가지는 재산적인 권리를 말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물권과 마찬가지로 지배권이고, 양도 및 상속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채권적인 효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저작재산권의 의의에 대해서 저작권소송변호사 지영준변호사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작재산권은 저작자가 저작물을 스스로 이용을 하거나 다른 사람이 이용을 할 수 있도록 허락함으로 경제적 이익을 올릴 수 있는 재산권을 말하며, 복제권, 공연권, 공중송신권,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 2차적저작물작성권이 있습니다.
저작재산권은 전부나 일부를 양도할 수 가 있습니다. 저작재산권의 전부양도를 하는 경우는 특약이 없는 때에 「저작권법」 제22조에 따른 2차적저작물을 작성해서 이용을 할 권리는 포함이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을 합니다.
단, 컴퓨터 프로그램 저작물의 경우에는 특약이 없는 한 2차적저작물작성권도 함께 양도가 된 것으로 추정을 합니다.
저작재산권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권리를 한국저작권위원회에 기증을 할 수 있습니다. 저작재산권 기증을 하려는 사람은 아래의 서류를 한국저작권위원회에 제출하여야 됩니다.
- 저작재산권 등 기증서약서
- 기증저작물 복제물
- 자신이 해당하는 저작물의 저작재산권자임을 증명하는 서류
저작재산권 기증을 받은 한국저작권위원회는 기증저작물의 제호와 기증자의 성명 등을 기증저작권 등 관리대장에 적고서 한국저작권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를 하여야 됩니다.
저작재산권자는 다른 사람에게 그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을 받은 사람은 허락받은 이용 방법과 조건의 범위에서 그 저작물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이용허락에 따라서 저작물 이용을 할 수 있는 권리는 저작재산권자의 동의가 없이 제3자에게 이를 양도할 수 가 없습니다.
저작재산권은 원칙적으로 70년간 보호가 됩니다. 저작재산권의 보호기간 계산을 하는 경우는 저작자가 사망을 하거나 저작물을 창작이나 공표를 한 다음 해부터 기산을 합니다.
저작재산권 그 밖에 「저작권법」에 따라서 보호가 되는 재산적 권리(데이터베이스 제작자의 권리는 제외함)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를 한 경에는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가 있습니다.
단, 위의 죄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거나 상습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고소가 있어야만 처벌을 할 수 가 있습니다.
저작재산권의 의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작권 관련 문제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변호사의 자문을 받으며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저작권변호사 지영준변호사는 다양한 저작권 관련 분쟁의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변호사로 여러분들의 어려움을 풀어드리겠습니다.
'저작권 > 저작재산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재산권 보호기간에 대해 (0) | 2015.07.02 |
---|---|
저작권보호대상에 관한 저작권 위반 사례 (0) | 2015.06.22 |
지식재산권 의미와 필요성 (1) | 2015.03.17 |
저작재산권 종류 저작권분쟁변호사 (0) | 2014.11.21 |
저작재산권의 양도, 행사, 소멸 (0) | 201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