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재산권/상표권 및 서비스표권

상표권분쟁 유사서비스표 해당된다면 상표권분쟁 유사서비스표 해당된다면 상표와 서비스표를 헷갈려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상표와 서비스표에 대해 과자에 비유를 하면 과자이름이 상표가 되고 과자를 제조한 회사이름이 서비스표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상표와 서비스표로 인한 분쟁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기존 직원이 창업이나 경쟁사로 이직하면서 영업비밀침해도 함께 일어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사례는 한의원 간에 유사서비스표에 해당된다며 일어난 상표권분쟁이 있습니다. 1995년 1월 ㄱ씨는 ‘A한의원’, ‘A한방병원’을 서비스표 등록하고 영업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ㄴ씨가 A라는 단어를 포함한 서비스표로 등록하고 영업을 하게 되었는데요. 이에 ㄱ씨는 특허심판원에 심판을 청구하였지만 기각 당해 ㄴ씨를 상대로 특허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여 상표권.. 더보기
대전상표권변호사 상표권 침해 인정이 대전상표권변호사 상표권 침해 인정이 우리는 상표나 디자인 등을 등록하여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상표권이란 등록상표를 지정상품에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잇는 권리를 말합니다. 하지만 늘어나는 상표권처럼 상표권 관련 소송도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 중에 체크무늬로 인해 발생한 상표권 침해 소송이 있었습니다. 그럼 어떠한 소송이었는지 대전상표권변호사와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1986년 국내시장에 출시된 영국 브랜드 A사는 국내 브랜드 B사의 속옷과 잠옷 제품에 사용된 체크무늬가 A사의 체크무늬를 도용했다며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브랜드 이름이 아닌 브랜드 제품에 사용된 체크무늬를 사용하여 진행된 이번 소송을 재판부에서는 어떠한 판결을 내렸는지 대전상표권변호사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판부는 A사.. 더보기
유사상표 등록은? 유사상표 등록은? 지난 2004년부터 A사는 독일에 있는 B사의 필터류 제품을 수입해서 판매해왔는데요. 2006년 A사의 대표 C씨의 명의로 B사의 상표와 동일 및 유사한 상표를 국내에 등록했습니다. A사는 이후에도 계속해서 B사와 거래해오던 중 2007년 정식으로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는데요. 그런데 2011년 2월 B사가 대리점 계약해지를 통지한 뒤 2012년 6월, C씨 명의로 등록된 국내 유사상표의 등록을 취소해달라며 특허심판원에 심판청구를 내고, 유사 상표등록취소 결정을 받았습니다. 이에 C씨는 유사 상표등록을 취소한 특허심판원의 결정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했는데요. 특허법원 재판부는 컴프레서 부품 회사인 A사의 대표이사 C씨가 “상표등록을 취소한 특허심판원의 결정을 취소해달라”면서 낸 상표등록취소.. 더보기
상표권침해금지 청구는? 상표권침해금지 청구는? 상품을 표시하게 되는 상표라는 것은 설정등록을 통해서 상표권이라는 것을 갖게 됩니다. 이것은 지정상품에 대해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발생하게 되는게 이것은 재산권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담보에 제공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타인이 이 권리를 허락도 없이 침해 할 경우엔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도 있습니다. 사례를 통해 상표권에 대한 내용과 상표권침해금지 소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랑스의 명품브랜드인 A사에서는 B씨와 C씨를 유사문양을 사용해 A사의 명예를 손상시켰다는 이유로 상표권침해금지 청구소송을 냈습니다. 이 소송에서 법원은 앞으로 유사한 모양이 포함된 디자인의 가방을 제조하거나 판매해서는 안 된다고 원고 승소판결을 내렸습니다. 재판부의 판결문을 보면.. 더보기
상표출원 식별력은? 상표출원 식별력은? 대개 상표는 문장보다는 단어에 가까운데요. 최근 누구나 흔히 사용할 수 있고, 구호 또는 선전문구로 인식될 수 있는 경우에는 식별력 없는 상표로서 상표출원을 할 수 없다는 재판부의 판결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한 판례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사는 미국과 일본 등에서 ‘That's Good Science’란 상표를 등록했는데요. 이후 우리나라 특허청에도 A사는 동일한 문구로 상표등록 출원신청을 했지만 거부당했습니다. 이에 A사는 누구나 사용하는 구호나 표어가 아니라 실제 우리만 사용하고 있어 식별력이 있다고 특허심판원에 불복심판을 청구했지만 기각 당하자 이번에는 소송을 냈습니다. 이와 같이 외국계 시약회사인 A사가 특허청장을 상대로 낸 상표거절결정 취소소송을 제기했는데요... 더보기
상표권 침해 고소할 때? 상표권 침해 고소할 때? 예전에도 그랬지만 요즘 유사상표에 대한 피해가 심각할 정도로 많이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과거에 비해서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식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업체들이 상표권 침해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쇼핑몰을 중심으로 유사상표 유사제품을 만들어 부당한 이득을 얻고 이로 인해 반사피해를 입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상표권 침해와 관련된 내용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상표라는 것은 상품의 생산이나 가공을 할 때 그 업무를 하는 자가 자신의 상품을 다른 사람의 상품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문자나 도형, 형상 혹은 다른 것과 결합되지 않은 색채, 동작 등이 있는데 대부분 시각적으로 인식이 .. 더보기
서비스상표 독점사용은? 서비스상표 독점사용은? 기업은 자사의 상품이나 서비스 등에 대해 상표권을 독점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 이것이 일반적인 생각인데 꼭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형 통신사 중 하나인 A통신사에서 사물인터넷 서비스상표인 IoT@home 이라는 상표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특허법원의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A통신사는 특허청장을 상대로 특허심판원 심결을 취소하라는 위치의 소송을 냈고 특허법원에서는 이 소송을 원고 패소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원고 패소의 이유에 대해 특정인에게 IoT@home 이라는 상표를 독점적 배타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것은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이 소송의 시작은 A통신사가 IoT@home 이라는 서비스상표를 특허청에 특허출원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더보기
대전변호사 상표권침해금지 청구는 대전변호사 상표권침해금지 청구는 상품을 표시하는 상표는 설정등록을 통해 상표권을 갖고 되고, 지정상품에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발생하는데요. 이는 재산권의 일종으로 특허권 등과 같이 담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지정상품의 영업과 함께 이전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타인이 허락 없이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에는 민, 형사상 책임도 인정되는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한 상표권 소송에 대해 대전변호사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재판부는 프랑스 명품 브랜드 A사가 “유사문양을 사용해 A사의 명성을 손상시켰다”며 유사상품을 만들어 판매한 B씨와 C씨를 상대로 낸 상표권침해금지 청구소송에서 “앞으로 유사한 모양이 포함된 디자인의 가방을 제조하거나 판매 또는 인도해서는 안 된다”며 원고 승소.. 더보기
상표권 침해 처벌은 국내에서 상표권 침해 처벌은 국내에서 국내 회사의 도메인 주소가 미국 회사의 상표권을 침해했다면, 어느 나라 법에 따라 상표권 침해 처벌을 받게 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한 판례를 통해 우리나라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씨는 미국의 인맥 기반 커뮤니티 사이트 B사이트의 URL에서 ‘a’ 철자만 뺀 URL을 도메인 주소로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이에 A씨는 미국 도메인 분쟁 해결기관인 국가중재위원회로부터 “정당한 권리 없이 악의적으로 B사이트의 상표와 유사한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는 이유로 분쟁처리결정을 받았습니다. 이에 불복한 A씨는 도메인을 등록한 우리나라 법원에 도메인 이전결정 취소소송을 제기했는데요. 사건을 심리한 우리나라 법원 재판부는 미국 상표권을 침해해 미국 국가중재위원회로부터 도메인 이.. 더보기
상호도용 상표 식별력 얻었다면! 상호도용 상표 식별력 얻었다면! 지리적인 명칭이 포함된 상호나 서비스표는 상표로써 인정을 받지 못해 상표법상 보호를 받지 못하는데요. 만약 장기간 공연히 사람들에게 알려져 상표로써 나름 식별력을 취득하게 됐다면, 이러한 상호는 상표로 인정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한 판례를 통해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O씨는 지난 2002년 7월부터 한 사설 교향악단을 운영하면서 단장으로 활동해왔는데요. O씨는 재단법인 P교향악단이 ‘P교향악단’과 교향악단의 영문표기 상호명으로 상표등록한 사실을 알면서도 P교향악단의 영문표기가 들어간 웹사이트 주소로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했습니다. 또한 P교향악단의 영문표기 상호를 사용해 정기연주회를 열거나 관련 팜플렛 등을 제작했는데요. 이에 O씨는 무단 상호도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