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징계

공무원 징계 전출순위가 공무원 징계 전출순위가 어떠한 문제로 인해 공무원 관련법을 어기거나 법에 따른 명령을 위반, 직무상 의무 위반, 직무 태만 등을 이유로 공무원 징계를 받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지방경찰청으로 전출신청을 낸 경찰공무원이 징계로 인해 순위에 밀려 발생한 분쟁에 대해 재판부는 어떠한 판결을 내렸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찰청은 고충 내용과 교류대기 기간 등을 반영하여 고득점자 순위로 ‘지방청별 전출 순위명부’를 작성했는데요. A씨는 경북지방경찰청으로 전출을 희망한다고 신청했고, 41번 째 전출 순위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A씨가 2011년 동료를 폭행한 혐의로 징계를 받아 서울지방경찰청으로 전보되면서 전출순위 명부에서 이름이 삭제됐습니다. 이후 2013년 다시 경기지방경찰청으로 복귀한 A씨는 .. 더보기
행정재판 교사해임 처분취소란 행정재판 교사해임 처분취소란 공무원 해임이란 공무원을 강제로 퇴직시키는 중징계처분을 말하는데요. 해임된 공무원은 3년 동안 공무원으로 임용될 수 없지만 파면과 달리 해임의 경우에는 연금법상의 불이익은 없습니다. 이어 파면이란 해임과 같이 강제로 퇴직시키는 중징계처분인데요. 파면은 공무원으로 임용될 수 없는 기간이 해임보다 2년 더 길어, 5년이며, 퇴직급여액의 50%가 삭감되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오늘은 교육공무원의 해임처분과 이러한 처분을 취소해달라고 낸 소송을 판례를 통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씨는 교직원 친목회장을 지내면서 친목회비를 사적으로 유용한 혐의로 교사해임 되었는데요. A씨는 이러한 교사해임 처분은 부당하다고 교원소청 심사위원회에 심사를 청구했고, 교원소청 심사위원회는 A씨.. 더보기
대전변호사 경찰공무원 징계 어떻게? 대전변호사 경찰공무원 징계 어떻게? 경찰공무원은 관련된 법률에 위배되는 행위를 한 경우 징계처분을 받을 수 있는데요. 오늘 대전변호사와 함께 살펴볼 사례는 자신이 일했던 경찰서의 상관을 음해하는 내용이 담긴 투서를 보내 징계처분을 받은 사례인데요. 이와 관련하여 해당 재판부의 판결과 법률적 근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경위는 자신의 부인에게 시켜 과거 자신과 함께 일했던 B경감을 음해하는 내용으로 C경찰청 감사관실 등에 팩스로 투서를 했는데요. 작성한 투서는 B경감이 지구대장으로 있었을 때 치안협의회로부터 술 접대를 받고 총경들에게 접대하기도 했다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C경찰청은 B경감을 음해하는 투서내용과 관련해 조사를 진행했지만 B경감이 법적으로 문제를 일으킨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고.. 더보기
공무원징계 처분 구제 공무원징계 처분 구제 부당한 공무원 징계처분을 받고 고생을 하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공무원이 소속기관장으로부터 위법한 징계처분을 받은 경우 어떤 절차를 걸쳐 구제를 받을 수 있을까? 이번시간에는 공무원징계 처분 구제에 대해서 공무원징계변호사 지영준변호사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징계 처분이란? 공무원에 대한 징계는 해임, 파면, 정직, 감봉, 견책 등이 있고 징계사유는 공무원 관련법을 어기거나 법에 따른 명령을 위반, 지식무상 의무 위반, 직무 태만 등이 있습니다. 공무원이 국가공무원법이나 이 법에 의한 명령을 위반했을 때 공무원의 신분으로 인해 부과된 직무상 의무에 위반하거나 직무태만인 경우 직무의 내외를 불문하고 그 체면이나 위신을 손상하는 행위를 한 경우 징계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 더보기